가능하면 장갑을 착용합니다. 아픈 야생동물도 갑자기 공격(물기, 할퀴기 등)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사람에게 옮길 수 있는 기생충(벼룩, 이, 진드기 등)이나 질병(광견병, AI 등)을 갖고 있을 수 있습니다.
종이상자나 반려동물용 이동장의 바닥에 부드러운 수건을 깔고 공기가 통하도록 작은 구멍들을 뚫어줍니다. 동물의 크기보다 약간 큰 정도가 좋습니다. 철망으로 된 이동장은 새의 깃털을 손상시키고 너구리가 물어 뜯으면서 상처를 입으므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동물의 시야를 가려주어 스트레스를 줄이고 안정되게 합니다. 또한 동물이 탈출하지 않도록 보안에 주의해야 합니다.
특히 어린 동물은 스스로 체온 조절을 못하기 때문에 체온 유지는 매우 중요합니다. 데운 찜질팩이나 따뜻한 물병을 수건에 싸서 상자 구석에 깔아줍니다. 너무 뜨거워 화상입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적합하지 않은 먹이는 영양 불균형으로 인해 동물을 더욱 아프게 합니다. 평소 먹는 먹이라도 쇠약한 동물에게 억지로 먹이면 기도로 넘어가거나 장에서 먹이를 소화시키지 못해 상태가 더 악화됩니다.
필요 이상으로 동물을 장기간 집에 두지 말아야 합니다. 전문지식 없는 부적절한 사육환경으로 폐사할 확률이 높습니다. 연락 가능한 야생동물 구조 단체는 좌측 메뉴 '비상 연락처'를 참고하십시오.
특히 새가 집단 폐사한 경우, AI와 같은 전염병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접촉하지 말고 해당 지역의 시군구청이나 가축위생시험소에 연락하여 사체를 수거하도록 합니다.
질병이나 기생충이 구조자 또는 반려동물에게 전파되는 것을 막기 위해 야생동물과 접촉한 모든 물건(수건, 옷, 담요, 이동장 등)도 깨끗이 씻어야 합니다.
사체를 먹으려고 다른 동물들이 도로 위로 모여들어 추가적인 희생을 야기합니다.
이 자료는 'Healers of the Wild : People Who Care for Injured and Orphaned Wildlife', '천연기념물의 구조치료 및 관리'에서 인용하였으며 더 자세한 내용은 야생동물유전자원은행 홈페이지 (http://www.cgrb.org/)를 참고하세요.